프로그래머스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일 때의 예시입니다.
약관 종류유효기간A | 6 달 |
B | 12 달 |
C | 3 달 |
1 | 2021.05.02 | A |
2 | 2021.07.01 | B |
3 | 2022.02.19 | C |
4 | 2022.02.20 | C |
- 첫 번째 개인정보는 A약관에 의해 2021년 1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B약관에 의해 2022년 6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9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입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 1 ≤ terms의 길이 ≤ 20
- terms의 원소는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의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약관 종류는 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 terms 배열에서 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 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1 ≤ privacies의 길이 ≤ 100
- privacies[i]는 i+1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
- privacies의 원소는 "날짜 약관 종류" 형태의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 today 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
- privacies의 약관 종류는 항상 terms에 나타난 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 today와 privacies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는 연도, MM은 월, 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2000 ≤ YYYY ≤ 2022
- 1 ≤ MM ≤ 12
- MM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1 ≤ DD ≤ 28
- DD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todaytermsprivaciesresult
"2022.05.19" | ["A 6", "B 12", "C 3"] | ["2021.05.02 A", "2021.07.01 B", "2022.02.19 C", "2022.02.20 C"] | [1, 3] |
"2020.01.01" | ["Z 3", "D 5"] | ["2019.01.01 D", "2019.11.15 Z", "2019.08.02 D", "2019.07.01 D", "2018.12.28 Z"] | [1, 4, 5]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약관 종류유효기간Z | 3 달 |
D | 5 달 |
1 | 2019.01.01 | D |
2 | 2019.11.15 | Z |
3 | 2019.08.02 | D |
4 | 2019.07.01 | D |
5 | 2018.12.28 | Z |
오늘 날짜는 2020년 1월 1일입니다.
- 첫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5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20년 2월 1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20년 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D약관에 의해 2019년 11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다섯 번째 개인정보는 Z약관에 의해 2019년 3월 27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TIL
- 날짜 관련 문제는 최소 단위 (ex. 몇일) 로 바꿔서 푸는게 더 빠름
- 같은 맥락에서 시간 문제도 동일
프로그래머스 둘만의 암호
문제 설명
두 문자열 s와 skip, 그리고 자연수 index가 주어질 때, 다음 규칙에 따라 문자열을 만들려 합니다. 암호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자열 s의 각 알파벳을 index만큼 뒤의 알파벳으로 바꿔줍니다.
- index만큼의 뒤의 알파벳이 z를 넘어갈 경우 다시 a로 돌아갑니다.
- skip에 있는 알파벳은 제외하고 건너뜁니다.
예를 들어 s = "aukks", skip = "wbqd", index = 5일 때, a에서 5만큼 뒤에 있는 알파벳은 f지만 [b, c, d, e, f]에서 'b'와 'd'는 skip에 포함되므로 세지 않습니다. 따라서 'b', 'd'를 제외하고 'a'에서 5만큼 뒤에 있는 알파벳은 [c, e, f, g, h] 순서에 의해 'h'가 됩니다. 나머지 "ukks" 또한 위 규칙대로 바꾸면 "appy"가 되며 결과는 "happy"가 됩니다.
두 문자열 s와 skip, 그리고 자연수 index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규칙대로 s를 변환한 결과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s의 길이 ≤ 50
- 1 ≤ skip의 길이 ≤ 10
- s와 skip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skip에 포함되는 알파벳은 s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1 ≤ index ≤ 20
입출력 예sskipindexresult
"aukks" | "wbqd" | 5 | "happy"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본문 내용과 일치합니다.
TIL
- input 를 보고 내가 생각한 크기에서 초과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함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뒤에 있는 큰 수 (0) | 2024.02.11 |
---|---|
[Algorithm] 백준 16118 java double로 풀기 (1) | 2023.10.18 |
[Algorithm] 백준 16437 (0) | 2023.09.24 |
[Algorithm] 백준 11559 Puyopuyo (0) | 2023.09.11 |
[Algorithm] 백준 9205 (bfs 완전탐색, floyd-warshall) (0) | 2023.09.08 |